저환수원리
4주동안 귀가 닳도록 들은 이야기, 처음에는 작게사서 크게 환수하라는 거야?라고 뭔 소리인지 이해를 못했지만…아……저평가,환금성,수익률,원금보존,리스크관리의 줄임말이라는 걸 알게 되게 띠용하게 되었다는ㅋㅋㅋㅋㅋ너무 유익하고 부동산 투자의 기초를 제대로 알게 되어서 좋았다.
4강을 들으면서 기억에 남는 몇가지를 적어보자면
부동산의 가치라는 것은 땅의 가치과 물건의 가치가 결합된 것이라는 것
입지독점성이라는 땅의 가치와 감가상각이라느 것이 적용되는 물건의 가치를 고려해보고 부동산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는 점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부동산의 가치는 어떨까 생각해보게 된다. 제주 전체를 두고 이야기 할때 제주라는 입지독점성의 땅의 가치는 높게 평가해도 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했는데 강사님도 살짝 언급했다. 하지만 제주라는 특수성때문에 과연 육지의 부동산 가치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를 해도 될까?싶기도 하다.
부동산의 전망
그 어떤 전문가도 부동산을 전망할 수 없다. 자본주의 책을 읽고 알게 된 점은 유명한 경제철학가들이 내놓은 이론도 결국은 변화해가는 자본주의 형태에 그들의 이론이 맞을 때도 있고 틀릴 때도 있다는 점이다. 정해진 답은 없다. 그래서 투자자관점에서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항상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 굉장히 와닿은 부분 중 하나다.(마치 경제를 예측한다는 건 날씨 예측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인듯?)
부동산의 사이클
굉장히 신기했다. 아 저런 사이클이 있구나. 예측은 할 수는 없지만 본인의 부동산 기초가 쌓이고 보는 눈이 생기면 스스로 전망할 수 있는 눈이 생기지 않을까 싶다.
좋은 입지라도 비싸게 사도 되는 물건은 없다
진짜 내가 필요한 물건을 살 때는 가성비 엄청 따지지 않나? 몇 억씩 주고 사는 물건인데 그런 수고를 들이지 않는 건 바보같은 행위이다. 그렇게 여러 검토를 거쳐 구입하게 되는 물건이 비싸게 샀다면 공부를 덜 한 거겠지…
욕심을 버릴 것
주제마다 나오는 내용 중 하나이지만, 결국은 투자를 함에 있어 욕심을 버리는 것이 가장 중요한 덕목일 것이다. 더 바닥을 잡으려고, 투자금을 조금만 쓰려고, 더 비싸게 팔려고..결국은 모 아니면 도인 행동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투자원칙을 철저히 가질 필요가있다.
존버 할 것, 믿고 기다릴 것
내가 좋아서 선택한 물건이다. 확신이 있다면 존버 해야한다. 하지만 그에 따른 리스크 관리는 나의 몫. 항상 철저하게 준비하고 대비해야함은 잊지 말아야 할 기본 원칙이다.
결국 좋은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는
나의 시간과 멘탈을 관리해야 한다. 좋은 사람들과 행복하게 잘 지내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될 정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행복할 것, 의도적으로 소소하게라도 행복하려고 노력할 것.
안전과 자유는 공존할 수 없다라고 한다. 아무런 리스크를 가지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 가장 큰 리스크와 같은 이치 일 것이다. 리스크를 안고 감으로써 내가 얻을 더 큰 자유와 번영이 있다면 감수해야 하는 부분이라는 것이다.
강의를 시작하게 된 몇몇의 계기가 있었지만 결국은 변화를 위한 시작이었다. 하지만 현재의 삶을 너무 만족했고 놓치고 싶지 않았다. 미래가 분명히 불투명함에도 불구하고.
하지만 속으로 알고는 있다. 나를 변화시켜야 삶의 변화가 올 것이란 것을..모른척하고 있었을 뿐이다.
어찌되었든 간에 발은 담궜다. 변화하려고 시도를 했다는 게 이미 변화할 수 있다는 긍정신호 아닐까?
일단은 그냥 해보려고 한다. 너무 급하지 않게 매일매일 조금씩 하다보면, 어라 이렇게 변해있네 하는 날이 오긴 할 거니깐!^^
![](https://blog.kakaocdn.net/dn/yjJiv/btsCOCaNasR/HPChlNniZEKXGWOpLsFsjK/img.png)
정신이 번쩍들게 하는 아이슈타인 아저씨의 뼈 때리는 말과 함께 열기 강의 후기를 마쳐본다
'월급쟁이부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앞으로 내가 가야 할 길(열반중급 1강 후기) (0) | 2024.02.09 |
---|---|
코크드림의 썰풀어주는 투자강의♡ (0) | 2024.01.24 |
드디어 솔루션을 찾다! :열반스쿨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0) | 2023.12.25 |
한편의 인생공부:열반스쿨 기초 2강 후기 (1) | 2023.12.17 |
열반스쿨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0) | 2023.12.12 |